마블의 위기
영화의 결말부터 말하겠다. 큰 한방을 만들어내지 못한 아쉬운 듯 아쉽지 않은 영화이다.
사실 어디서 말을 해야 할지 모르겠다. 마블의 위상과 이야기는 이제 과거의 기록에 지나지 않는 것일까?
마블을 대표할 수 있는 캐릭터는 어벤져스 멤버뿐인 것인지 의문이다. 큰 한방을 만들어 내지 못했다고 말한 이유를 설명하겠다. 우선 영화의 전체 이야기를 하기 전에 영화 마지막에 빌런과의 대결에서 이런 결말을 맺는 게 너무 당황스러웠다. 난 개인적으로 영화 마지막 장면까지 한 가지를 기다리고 있었다. "이제 보여줄 때가 됐지, 한 방을 보여줘 앞에 내용은 괜찮아 마지막 한 방 남은 것을 보여줘" 난 속으로 말하고 생각하며 영화를 시청했다. 하지만 영화의 마지막 결말 부에서 이런 결말을 맺을 줄은 몰랐다. 영화 이야기의 끝을 이렇게 만든 이유를 나는 아직도 모르겠다. 마블의 위기는 어벤져스 이후부터 줄 곤 끊임없이 하게 되는 이야기 같다. 영화가 나쁘다는 의미는 결코 아니다. 그렇다고 영화가 재밌냐고 묻는 다면 그것은 다소 차이가 있겠지만 최신 영화들의 재미는 많이 반감되었다는 것이 내 평가이다.
내가 놓치고 싶지 않은 것은 "캐릭터성"이다. 마블이라는 이름에 걸맞게 그 능력 또한 놀랍울 정도로 강하고 말도 안되는 능력치를 가진 캐릭터가 캡틴 마블이다. 옆집에 "원더우먼"과 견주어도 아깝지 않고 이렇게 허비될 캐릭터가 아니라는 것은 분명하다. 그리고 이야기를 더해 가는 인물과의 관계의 긴장감이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모니카 램보"와 "미즈 마블" 각자 결코 나쁜 캐릭터는 아니다. 하지만 영화 자체적으로 만들고 갈 인물의 포지션 그리고 충족되지 않는 조건과 모든 것을 말하기에 부족한 짧은 러닝타임 등. 영화는 마블이 쌓아 올린 기록을 부수는 마블의 위기를 만들게 된 것이다. 분명 이 캐릭터를 빼거나 포함시키는 동안에 분명 구조적인 짜임과 이야기의 탄탄함이 있었다면 마블의 위기는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다. 오로지 캡틴 마블의 서사만을 더 쌓았더라면 하는 바람도 개인적으로 남았다. 마블의 경우 영화를 시청하기 전 진입 장벽에 대한 고민을 가지게 된다. 왜냐하면 다음 작품들과의 연결고리를 위해 반드시 이전 작품을 이해하거나 시청해야 한다는 조건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번 마블의 영화 "더 마블스"는 무엇을 위해 마블이 쌓아 올리고 있는 페이지에 추가가 되었는지 의문이었다.
굳이 영화관을 찾을 만큼의 장점을 가진 영화는 아니었다. 따라서 집에서 정말 궁금하지 않는 한 100% 시청은 추천하지 않는다.
3분 박서준
마블, 캡틴 마블, 마블 씨네마, 마블 영화 등. 우리가 만나온 마블의 많은 영화들 중에 한국인 배우가 출연한 경우가 있었다. 이전 마블의 영화 중에서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에서 배우 수현이 연기한 적이 있다. 그리고 가장 최근에는 우리의 최강 펀치, 최강 파워 마동석 배우님께서 "이터널스"에서 연기를 했다. 반면 배우 "박서준"님의 경우는 등장 장면이 3분도 되지 않는다.
이럴 거면 왜 홍보에서 이렇게 배우를 노출을 시키고 소모성으로만 만들었는지 알 수가 없다. 이것은 3분 요리 시간 보다도 짧았다. 아무리 비중이 적은 캐릭터이지만 이런 식의 캐릭터 소모 방식은 적절하지 못했다는 생각이 들었다. 더 마블스에서 캡틴 마블과 호흡을 더 연계했을 수도 있는 일이다. 노래로 대화를 하는 캐릭터를 소화해야 하는 것도 쉽지 않았을 것이다. "더 마블스"가 마블의 영화 편입이 되어야 하는 게 마블의 팬으로서는 질문을 자아낸다. 마블스라는 캐릭터들을 3인 체제로 이끌어 가며 충분하지 못한 서사로 빌드업을 시킨 동시에 한국의 배우를 데려와 충분하지 못한 등장 장면을 만들고 마지막 부분에서는 힘을 빼버리는 이전 캡틴 마블의 작품보다 더 못한 전개 방식을 보여 준 것 같다. 코믹스로 보거나 애니로 볼 때 "캡틴 마블"이 가지는 캐릭터성의 비중과 강인함은 영화와 정말 다르다. 이렇게 힘 있는 캐릭터를 너무 남발하듯이 사용한 것이 너무 아깝다. 그리고 영화라는 실사화 작업에서 극본을 수정하고 인물을 추가하고 한국 배우 박서준 님을 데려와 시간을 너무 소비시킨 것 같다. 추가 촬영분이 있는데 제대로 된 편집을 못 이끌어 낸 것이라면 이 영화의 흥행 결말을 말할 것도 없는 게 분명한 사실일 것이다.
3분 박서준이라는 제목을 내가 작성했지만 규정 3분도 채우지 못한 너무 짦은 등장 장면과 이도저도 아닌 전개를 억지로 끌고 나간 영화의 방식에 한국인으로서 마블의 팬으로서 "더 마블스"는 두 마리의 토끼가 아닌 한 마리의 토끼도 못 잡았다. 즉 이번 영화는 사냥에서 아무런 포획도 못한 사냥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영화 리뷰
마블의 영화는 언제나 기대감과 재미 그리고 감동까지 챙겨주는 영화였다. 분명 마블의 전성기라고 부를 수 있는 시기가 있었고 과정 중에 흥행성이 낮아도 나쁘다고 말할 영화 작품의 수는 적었다고 생각한다 그렇기 때문에 영화 한 편 한편씩 모여서 잘 쌓여 빌드업을 성공했고 결실을 잘 매듭짓는 영화가 탄생했다고 생각한다. 캡틴 마블이라는 영화가 세상에 나왔을 때. 우선 기뻤다. 왜냐하면 이 좋은 캐릭터를 마블이 꺼내 들었을 때. 마블이 많은 준비와 캐틱터를 구축할 각도를 만들었다고 느꼈기 때문이다. 처음 캡틴 마블 영화가 개봉했을 당시에 재밌다고 평가할 수 없었고 배우 이슈도 있었지만 나쁘지는 않았던 것이 이후에 캡틴 마블의 이야기를 더 구축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이후 여러 작품들이 개봉하고 "더 마블스"까지 넘어오는 동안 마블의 영화 드라마는 평이하게 갈리는 듯했다. 드라마까지 확장하게 되면 드라마까지 봐야 영화를 이해할 수 있는 진입 장벽이 하나 더 만들어지게 된다.
마블의 팬으로서 당연히 드라마도 시청하고 영화까지 즐기려고 했던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이것은 부담 아닌 부담으로 느껴지기도 했다. 왜냐하면 너무 많은 것을 소화해야 했기 때문이다. 마블은 원작을 기반으로 실사화 과정을 거치고 있다. 이것은 당연 부정할 수 없는 점이다. 이 방대한 이야기들을 다루고 새로 등장한 캐릭터를 잘못 컨트롤하게 될 경우 이와 같은 작품들이 쏟아져 나오는 것 같다. 영화 자체가 너무 나쁘지는 않았다. 다만 결말이나 전개나 영화 속 대사들이 너무 가벼운 터치로만 이루어진 것 같다.
영화가 만든 결과만 가지고 얘기하자면 오히려 애니메이션이 더 낫지 않았을까 하는 제작방식의 의견을 더하고 싶다. 끝으로 짧았지만 박서준 배우님을 내가 좋아하는 마블에서 볼 수 있었다는 것이 기쁘다. 그리고 이번에는 짧게 소모되었지만, 마블이니까 그래도 이후에 추가되는 영화에서 재미있게 등장해 주거나 비중을 조금 더 늘려주는 방안도 생각해 주면 하는 바람이다. 그리고 "더 마블스"의 영화는 구스가 지켰다. "구스"는 영화 캡틴 마블에 등장했던 고양이를 닮은 외계인이다. 충격적인 장면들이 있지만 너무 귀여운 게 함정이다. 난 구스를 보러 영화관에 갔었다. 마블이 멀티버스를 다루며 많은 가능성과 변수가 있는 반면에 복잡하고 다양성과 방향도 잘 잡아야 하는 어려운 점이 있다. 이후 마블이 만들어낼 영화에서 미흡했지만 나쁘지 않았던 "더 마블스"에서 풀지 못한 내용들을 모두 회수할 수 있기를 바라며 영화 후기를 마친다.